본문 바로가기
투자기업분석

[2차전지 관련주]엘앤에프, 사업구조

by 빵부지 2021. 2. 9.

EV(전기차)산업의 성장은 이제 본격화 되고 있다. 이미 주식 시장에 많은 기대감이 반영되어 있지만, 직접적인 EV 관련 사업 실적들은 2020년 하반기, 2021년이 되면서 점차 나타나고 있다. 블로그에 앞서 EV산업의 성장성과 EV 산업 내에서 투자해볼 만한 산업을 구체해보았었다. (EV 산업 관련글 : alltogether.tistory.com/7?category=900013)

EV에서 원가 비중이 높고, 기술력이 중요한 산업군은 배터리. 그 중에서도 양극재 산업군에 해당하는 엘앤에프 투자를 현재 진행중이다. 엘앤에프는 국내 기업중 양극제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들어 고객사의 요구에 맞는 CAPA를 증설하고 있다. 

엘앤에프는 사업구조가 매우 단순하여 공부하기에 적합했고, 주력 제품이 아직 본격화 되지 않은데다가 높은 기술력을 선점하고 있어서 투자를 시작하게 되었다. 엘앤에프의 사업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첫 번째, 주요 사업

엘앤에프의 사업 구조는 아주 단순하다. 

 

2020 3분기를 기준으로 할 때 엘앤에프 주요 사업은 하나, 양극 활물질. 전기차 배터리에서 사용되는 핵심 원료 중 하나이다. (양극 활물질=양극재=Cathode)

 

 

두 번째, 양극 활물질 사업

  • 양극 활물질 원재료 

2020 3분기 공시기준

엘앤에프의 원재료는 종속회사에서 100% 매입하고 있는 상황. 원가 절감 및 사업 수직계열화.

 

  • 양극 활물질 제품 비율

출처 : 엘앤에프 홈페이지

엘앤에프가 생산하는 양극 활물질은 EV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엘앤에프 투자하시는 분들의 대다수는 물론 EV향 매출에 비중을 두시겠지만 2019년까지만 살펴봐도 전체 매출에서 EV가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 않았다.

 

 

출처 : 20200626 교보증권 레포트

2019년도 매출 기준, 양극 활물질(양극재, Cathode) 매출 비중은 소형전지(50%) > ESS(35%) > EV(15%)로 EV향 매출은 가장 작은 상태였다.

 

 

출처 : 20200626 교보증권 레포트

 

2020년 매출 비중은 1분기 기준, 18%로 상향된 상태. 각종 증권사 리포트에서는 2022년 EV매출이 전체 매출의 75~80%로 상향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참고 리포트 : 

20200626 엘앤에프 교보증권.pdf
0.59MB

 

 

  • High-Nickel계 양극 활물질

엘앤에프는 High-Nickel계 양극 활물질 제품이 주력이다.

- 2020년 6월 기준, LG화학에 이미 납품 중(High-Nickel계 NCMA 추정)

- 2020년 7월, 세계 최초 니켈 비중 90% NCMA 개발 성공

- 2020년 12월, LG화학에 NCMA(90% 추정) 공급 계약 체결 1조 4,000억 원 

- 현재 NCM622 비중이 제일 크고 712 811 제품군이 개선되고 있는 상황

 

20201216 정보공시 내용

2020년 12월 16일, 엘앤에프는 정보공시를 통해 LG화학에 양극 활물질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음을 공시하였다. 규모는 무려 1조 4,547억. 2019년도 엘앤에프의 매출액이 3100억 정도였다. 1년 매출 4배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 특히 해당 제품은 니켈 90%의 NCMA인 것으로 추정된다.

NCMA를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말까지 LG에너지 설루션에 독점 공급할 계획. 업계에 따르면 엘앤에프가 공급하는 NCMA는 LG에너지 설루션의 패키징 생산을 거쳐 미국 테슬라(Tesla)에 공급될 전망이다. 테슬라는 기존 모델에 탑재하던 21700 원통형 배터리(지름 21mm, 높이 70mm)의 양극재를 NCM811에서 엘앤에프와 LG에너지 솔루션이 공급하는 NCMA 배터리로 대체한다.

 

참고 리포트 : 

20200901 엘앤에프 유안타증권.pdf
0.75MB
20200730 엘앤에프 한화투자증권.pdf
0.73MB

참고 뉴스 :  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9572 

                 news.mt.co.kr/mtview.php?no=2020070710077017861

                  m.ddaily.co.kr/m/m_article/?no=203719

 

 

  • 납품처

엘앤에프는 현재 국내 대형 배터리 제조업체 3곳에 모두 납품 중. LG화학, 삼성 SDI, SK이노베이션. 납품 비중으로는 LG화학 > 삼성 SDI > SK이노베이션 . 향후 SK이노베이션 납품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① LG화학향 제품 : NCMA(하이 니켈계)

② SK이노베이션 향 제품 : NCM523 주력, NCM811 공급 추진 중으로 추정

③ 삼성 SDI향 제품 : 소형전지 위주 납품 중인 것으로 파악됨

 

참고 자료 

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2021628013640106749

20200901 엘앤에프 유안타증권.pdf
0.75MB

 

  • 납품처 Supply Chain

① LG화학

 

② SK이노베이션

 

③ 삼성 SDI

 

참고 리포트 : 

20200730 엘앤에프 한화투자증권.pdf
0.73MB
20201112 엘앤에프 하나금투.pdf
8.56MB
20200511 2차전지 메리츠.pdf
5.31MB

 

 

  • CAPA 

2020년 엘앤에프의 CAPA는 2~3만 톤 수준. 

LG솔루션과 공급 체결한 NCMA는 연 5만 톤 수준이라 현재 CAPA로는 고객사(LG솔루션)에게 물량을 맞춰주기가 힘든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엘앤에프는 2020년 11월 NCMA양극 활물질 생산설비 확장을 위해 대구에 2500억 원 규모의 설비투자를 결정했다. (1단계 2022년 10월 2100억 원, 2단계 2023년 말 400억 원) 엘앤에프는 우선 2021년 5월까지 시운전을 완료하고, 10월 연 7만 톤 수준(최대 생산능력 기준)으로 NCMA 증산 계획.

경쟁사 CAPA의 경우 포스코 케미컬은 현재 약 4만 톤, 에코프로 비엠은 5만~6만 톤 수준으로 추정됨.

 

① 1 공장 : 대구 성서산업단지

② 2 공장 : 경북 칠곡  

→① + ② = 연간 2만 톤 CAPA, 설립 당시 NCM 물량 생산

 

③ 3 공장 : 대구, 2019년 8월 하이니켈계 NCMA 생산설비 투자

④ 4 공장 : 대구, 2020년 11월 하이니켈계 NCMA 생산설비 투자

→③ + ④ = 연간 6만 톤 CAPA 추정, NCMA

 

 

 

참고 뉴스

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2021628013640106749&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209538

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12211426489440106148&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view.asiae.co.kr/article/2020111707240284459

news.mt.co.kr/mtview.php?no=202007071007701786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