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아이엔엑스(KINX)의 사업구조, 투자 포인트 분석 완료...! 이번에는 해당 기업의 재무구조, 투자지표 그리고 주가의 흐름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케이아이엔엑스의 사업 구조 분석 글 : alltogether.tistory.com/18)
(케이아이엔엑스의 투자 포인트 분석 글 : alltogether.tistory.com/17)
첫 번째, 재무구조 분석
- 현재까지 회사 주요 사업의 성장률은?
2015년 ~ 2020년
매출액 : 421 - 442(4%) - 473(7%) - 563(15%) - 646(14%) - (실적 발표 전)
영업이익: 71 - 78(9%) - 92(17%) - 132(43%) - 165(20%) - (실적 발표 전)
순이익 : 45 - 63(40%) - 67(6%) - 125(86%) - 157(25%) - (실적 발표 전)
2020년도 분기별 매출액 : 175억, 175억, 175억, 4Q는 아직 발표 전
- 현재 시가총액 대비 연간 매출액은?
2021년 1월 16일 기준, 시가총액 4,006억.
2019년 기준 순이익 157억, PER = 25.5
2020년 예상 순이익 188억, PER = 21.3
- 현금 보유액과 부채규모 비교
현금보유액 : 740억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330억
- 단기금융상품 : 260억
- 기타 유동 금융자산 : 150억
부채규모 : 201억
- 단기 매입채무 : 41억
- 유동 리스 부채 : 60억
- 장기차입금 : 81억
- 비유동 리스 부채 : 19억
현금 보유액 충분
- 매출 증가가 영업이익 증가로 이어지는가?
2015년 ~ 2020년
매출액 : 421 - 442(4%) - 473(7%) - 563(15%) - 646(14%) - (실적 발표 전)
영업이익: 71 - 78(9%) - 92(17%) - 132(43%) - 165(20%) - (실적 발표 전)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 : 16% - 17% - 19% - 23% - 24% (*꾸준한 증가)
- 부채비율의 증감
2015년 ~ 2020년
부채비율 : 6% - 9% - 11% - 9% - 24% - 20%(추정치)
- 차입금 출처에 문제는 없는지?
차입금 출처 문제없음
- 순이익 대비 이자비용의 규모는 적정한가?
2015년 ~ 2020년
순이익 : 45 - 63(40%) - 67(6%) - 125(86%) - 157(25%) - (실적 발표 전)
이자비용 : 0 - 0 - 0 - 0.1억 - 3.3억 - (실적 발표 전)
이자비용/순이익 : 0 - 0 - 0 - 0 - 0.02
- 매출채권과 미수금에 대한 대손충당금이 확보되어 있는가?
3 Q2020 기준
매출채권 : 100억
매출채권 대손충당금 : 5.6억
매출채권 대비 대손충당금 비율 : 5%
단기 미수금 : 0.4억
단기 미수금 대손충당금 : 1.2억
단기 미수금 대비 대손충당금 비율 : 300%
2015년~2019 연간 사업보고서 기준, 매출채권 및 미수금
매출채권 규모 : 59억 - 69억 - 98억 - 83억 - 95억
대손충당금 규모 : 7억 - 10억 - 12억 - 6억 - 6억
매출채권 대비 대손충당금 비율 : 11% - 14% - 12% - 7% - 6%
단기 미수금 : 2.1억 - 0.8억 - 1.5억 - 1.6억 - 0.1억
대손충당금 규모 : 0.8억 - 0.6억 - 0.6억 - 0.6억 - 0억
미수금 대비 대손충당금 비율 : 38% - 75% - 40% - 37% - 0%
- 매출채권 및 미수금 회수가 잘 이루어지는가?
6개월 미만의 매출채권이 95% 이상 차지.
2015~2019 연간 사업보고서 기준, 6개월 미만의 매출채권 비율
매출채권 규모 : 59억 - 69억 - 98억 - 83억 - 95억
6개월 미만의 매출채권 : 50억 - 55억 - 85억 - 78억 - 89억
비율 : 84% - 79% - 86% - 93% - 93%
2015~2019 연간 사업보고서 기준, 매출채권 회전율
매출액 규모 : 421억 - 442억 - 473억 - 563억 - 646억
매출채권 규모 : 59억 - 69억 - 98억 - 83억 - 95억
매출채권 회전율 : 7 - 6 - 4 - 6 - 6
- 판관비에 큰 변동이 있는가?
2017~2019 연간 사업보고서 기준, 판관비와 매출액 비율
판관비 규모 : 133 - 139 - 144
매출액 규모 : 473 - 563 - 646
비율 : 28% - 24% - 22% (*점차 감소)
두 번째, 투자지표 분석
세 번째, 주가 분석
기업의 주식 가격은 사업의 영업이익이나 순이익과 관련성이 깊다. 하지만 동시에 정비례의 상관관계에 있지도 않다. 기업의 주가는 미래가치에 대한 기대심리를 반영하기도 하고, 회사의 주요 사업 내용과 무관한 시장 상황에 의해 조정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회사의 주요 사업이 잘 되는가'이다. 이는 결국 사업의 결과물인 영업이익(또는 순이익)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한다.
2018.12부터 2020.12까지 약 2년간의 주가 상승률과 영업이익 상승률을 비교해보니, 당사의 2년간 영업이익 상승률 대비 주가 상승률은 약 6~7배 정도였다.
2018.12.28 종가 24,000원
2020.12.30 종가 71,800원
2년간 주가 상승률 : 199%, 주가는 약 2배 상승
2018 연간 영업이익 132억
2020 연간 영업이익(추정치) 181억
2년간 영업이익 상승률 : 약 37%
2021.01.07 가격 : 72,300원
과연 이 가격은 현재 적정한 것일까? 비싼 걸까? 싼 걸까?
네 번째, 내 맘대로 적정주가 구하기
기업 투자에 대한 여러 정보와 자료를 접하다 보니 일종의 '공식'도 돌아다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나 적정주가를 구하는 공식을 사용하여 현재 시점에서의 기업의 주식 가격을 산정하는 사람들도 일부 있었다. 기준을 산정하는 방식이야 무엇이 되었든, 결국 본인이 판단할 수 있는 최대의 범위 내에서 공부해보고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같은 맥락에서 나도 케이아이엔엑스의 4Q 영업이익과 적정 주가에 대한 기준을 나름 세워보았다.
2016년도부터 2020년도까지 트래픽 발생량을 비교한 자료다. 전년도 대비, 2017년도에는 35%(약 96만 테라바이트 증가) 증가, 2018년도에는 23%(약 88만 테라바이트 증가) 증가, 2019년도에는 32%(약 150만 테라바이트 증가) 증가하였다. 2020년도 추정치 결과 트래픽 발생량은 750만 테라바이트 수준이다. 이는 2019년도 트래픽 발생량 대비 약 22%(약 135만 테라바이트 증가)이다.
이동통신사의 데이터 트래픽 발생량을 살펴보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약 4년간 200% 증가함을 살펴볼 수 있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대략 매년 50%씩 증가한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추가로 유선 트래픽의 경우, 향후 5년 동안 68% 정도 트래픽 양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무선 트래픽의 경우 187% 정도 트래픽 양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유선, 무선을 합쳐서 계산해보아도 전망되는 트래픽 양 증가율이 135%에 육박한다. 연간으로 환산해보면 대략 27% 정도이다. (전 세계를 기준)
아시아로 한정할 때, 월간 IP 트래픽은 연평균 32%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정리해보자면, 2019년 대비 2020년 인터넷 트래픽은 최소 20% 증가함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당사는 인터넷 트래픽을 주요 수익처로 하고 있으며, 2020년도 인터넷 트래픽 증가로 인해서 사업 이익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
(* 당사는 IP 트래픽을 기반으로 수익을 내고 있지만 모바일 트래픽 역시 사업 이익에 영향을 준다. 참고하면 좋을 블로그 글 공유, blog.naver.com/tomoya19/221786681007, blog.naver.com/finejeong74/221685630597)
케이아이엔엑스의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연도 별로 살펴보면
매출액 기준, 2015년부터 매년 5%, 7%, 19%, 14% 상승
영업이익 기준, 2015년부터 매년 9%, 17%, 43%, 24% 상승
순이익 기준, 2015년부터 매년 39%, 6%, 89%, 25% 상승
2020년도 1Q, 2Q, 3Q 순이익은 121억.
내가 예상하는 2020 연간 순이익은 2019년도 대비 20% 상승한 188.4억이다. 연간 순이익에 달성하려면 4Q에는 최소 67.4억 이상은 결과가 나와줘야 한다. 만약 내 기대와 예상이 맞다면 2020 연간 순이익은 188.4억. 4분기에 해당 실적을 달성했다고 가정했을 때, 매수 적정 금액은 대략 77,212원.
만약 연간 순이익 상승률이 10% 정도라면, 4Q에는 최소 51.7억 순이익 필요. 이를 기준으로 할 때 연간 순이익은 172.7억. 매수 적정금액은 70,008원
참고 뉴스
www.etoday.co.kr/news/view/1944283
www.mk.co.kr/news/it/view/2020/04/393121/
www.cisco.com/c/en/us/solutions/executive-perspectives/annual-internet-report/air-highlights.html#
다섯 번째, 그래서 사? 말아?
77,000원 이하의 금액으로 조정이 내려올 때! 지속적인 추가 매수를 할 계획이다. 2020년 사업보고 발표가 기다려진다.
'투자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관련주]월덱스, 경쟁업체 비교 분석 (1) | 2021.01.23 |
---|---|
[반도체 관련주]월덱스, 사업구조 (0) | 2021.01.19 |
[데이터센터 관련주]케이아이엔엑스(KINX) 경쟁업체 비교 분석 (1) | 2021.01.07 |
[데이터센터 관련주] 케이아이엔엑스(KINX), IDC 사업부문 분석 (1) | 2021.01.03 |
[데이터센터 관련주] 케이아이엔엑스(KINX), 사업구조 (1) | 2021.01.01 |
댓글